2025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자격증 응시자격 시험일정 취업 필기 실기(기능) 전망 연봉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자격증은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한 후 고속철도차량 및 철도장비를 운전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면허이다. 철도차량 운전자의 자격 기준을 통일하기 위해 도입된 이 자격은 필기시험을 **컴퓨터 기반시험(CBT)**으로 전환하여 2021년부터 시행된다. 시험에 합격 후 운전 실무수습을 거쳐 인증 구간에 등록하면 고속철도차량 운전업무에 종사할 수 있다. 응시자는 디젤차량 또는 제1종, 제2종 전기차량 운전 경력이 3년 이상이어야 한다.

2025년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자격증 정보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전문자격증

(2) 시행기관 : 교통안전공단

(3) 응시자격 : 제한 있음

(4) 홈페이지 : https://lic.kotsa.or.kr/ 

자격정보

(1)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①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란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시행하는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시험에 합격한 후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② 종전에는 철도차량운전업무종사자에 대한 선발기준이 철도운영기관별로 개별 적용하였으나 국가가 통일적인 기준을 정하여 운전면허를 부여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철도차량운전자의 자격제도를 도입하였다.

(2) 자격 특징

①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를 취득하면 고속철도차량 및 철도장비를 수행 한다.

②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시험 중 필기시험을 기존 지필시험(PBT)에서 컴퓨터 기반시험(CBT)으로 전환하여 2021년 7월 7일부터 시행한다.

③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시험에 합격하면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를 발급받는다. 이후 운전실무수습 수료 후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인증구간을 등록한 다음 운전업무에 종사할 수 있다.

(3) 철도차량 운전면허 종류

(4) 취득절차

시험정보

(1) 응시자격 : 제한 있다.

고속철도차량 운전면허시험 응시자는 법 제21조의 규정에 의한 디젤차량, 제1종 전기차량, 제2종 전기차량에 대한 운전업무 수행 경력이 3년 이상 있어야 한다.

(2) 결격사유(철도안전법 제11조)

① 19세 미만인 사람

② 철도차량 운전상의 위험과 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정신질환자 또는 뇌전증환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③ 철도차량 운전상의 위험과 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약물(「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마약류 및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3조제1항에 따른 환각물질을 말한다. 이하 같다) 또는 알코올 중독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④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상실한 사람, 두 눈의 시력을 완전히 상실한 사람,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신체장애인

⑤ 운전면허가 취소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하였거나 운전면허의 효력정지기간 중인 사람

(3) 시험과목

※ 비고 : 운전면허 소지자가 다른 종류의 운전면허를 취득하기 위하여 운전면허시험에 응시하는 때에는 신체검사 및 적성검사의 증명서류를 운전면허증 사본으로 갈음한다.

(4) 합격기준

① 이론시험(필기시험): 시험과목 당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 과목 40점 이상 (철도관련법의 경우 60점 이상) 총점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 자

② 기능시험(실기시험): 시험과목 당 60점 이상 총점 평균 80점 이상 득점한 자

(5)2025년 시험일정

(6)응시수수료

필기시험:77,000원

실기(기능)시험

활용정보

(1) 철도차량운전면허 소지자는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철도공사, 서울메트로, 부산교통공사, 서울특별시도시철도, 대구도시철도, 인천교통공사,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코레일공항철도(주), 서울9호선운영(주), 부산-김해경전철운영(주) 등에 기관사로 취업이 가능하다.

(2) 또한 한국철도유통 등 철도/교통관련 민간 유통업체, 대학원 및 연구소(철도기술연구원 등)로도 취업이 가능하다.

직업전망

• 향후 5년간 철도 및 지하철기관사의 관련 직업인 철도 및 전동차기관사의 일자리 규모는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입니다. 철도 수송 실적을 보면 화물 수송 실적은 감소하고 있으나 여객 수송 실적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열차 자동 운전 시스템, 무인 운전 시스템 등 기술 발전에 의한 전동차 조작 자동화가 보급됨에 따라 열차 기관사의 역할은 감소할 것입니다. 따라서 철도 이용객이 증가하더라도 1인 승무제나 무인 운행 시스템으로 인해 철도 및 전동차 기관사의 일자리 규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아 철도 및 전동차 기관사의 고용 규모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임금수준

• 평균연봉: 5,749만원

• 철도 및 지하철기관사의 관련 직업인 철도·전동차기관사의 평균연봉(중앙값)은 5,749만원으로, 조사 대상 전체 직업 평균연봉(중앙값)인 4,072만원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입니다. (자료 : 워크넷, 철도·전동차기관사(2021))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 77.8%

• 철도 및 지하철기관사의 관련 직업인 철도·전동차기관사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직업만족도는 77.8%입니다. (자료: 워크넷, 철도·전동차기관사(20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