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티푸스 원인 증상 치료 검사 예방접종 보건소 병원 기본정보

장티푸스(Typhoid fever)는 살모넬라 타이피(Salmonella Typhi)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신 감염 질환입니다.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감염되며, 고열, 두통, 복통, 식욕 부진, 설사 또는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감염이 진행되면 장 출혈이나 장 천공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신속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감염내과 또는 소아청소년과에서 항생제 치료를 통해 완치할 수 있으며, 예방을 위해서는 위생적인 생활 습관과 백신 접종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위생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 발생률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장티푸스 정보

정의

장티푸스는 살모넬라 균종의 특정 아종(Salmonella enterica ssp enterica 중 serovariant typhi, paratyphi)에 감염되어 발생하며 발열과 복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살모넬라균은 장을 통해 몸 속으로 침투한다. 복통, 구토, 설사 또는 변비 등 위장관계 증상이 나타나지만 위장관염의 한 종류라기보다는 발열 등의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는 전신 질환이다. 발열은 환자의 75% 이상에서 나타나지만 복통은 30~40%에서만 나타난다. 장티푸스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에 다녀온 이후에 발열 증상이 있을 경우,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다른 질환과 구별하여 감별 진단해야 한다.

* 발병위치 : 전신

원인

살모넬라균종 중 특정 아종에 감염된 환자나 보균자(균에 감염은 되었으나 아직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사람을 뜻하며 장티푸스 보균자는 대변이나 소변에서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살모넬라균이 검출되는 경우를 말함)의 소변이나 대변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했을 때 감염된다. 몸 속으로 들어온 균의 수가 백만~십억 개 정도이면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보균자가 부주의하게 다룬 우유나 유제품도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위산 부족증 환자나 위절제술을 받은 사람은 정상인에 비해 장티푸스가 발병할 가능성이 더 높다.

증상

잠복기는 몸 속으로 침투한 균의 수에 따라 다양한데 평균 1~3주이다. 가장 주된 증상은 발열이다. 그 외에 오한, 두통, 권태감 등의 증상과 식욕감퇴, 구토, 설사 또는 변비 등의 위장관계 증상이 나타난다. 비장 종대(비대), 장미진(장미 모양의 작은 발진), 상대서맥(relative bradycardia)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병이 경과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 달라지는데, 발병 첫 주에는 발열로 인해 체온이 서서히 상승하는 증상이 특징이고 둘째 주에는 복통과 피부 발진이 나타난다.

진단/검사

환자의 임상 증상을 통해 의심해 볼 수 있다. 장티푸스는 세균배양검사가 가장 기본이다.감염 초기에는 혈액에서 균이 분리될 수 있으며, 감염 1주일 후에는 소변이나 대변에서 균이 나타난다. 골수에서는 항생제 투여를 받은 환자에서도 90% 이상 균 배양이 가능하기 때문에 진단적 가치가 높다. 감염 2주 후 70%의 환자에서 혈청응집반응(Widal test)값이 4배 이상으로 나오지만, 검사 결과의 진단적 유용성은 떨어진다.

치료

퀴놀론계 항생제인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을 투여하거나 암피실린(ampicillin)을 포함한 아미노페니실린계 항생제 또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다. 담낭 보균자의 경우 담석이 없으면 4~6주 동안 항생제를 투여하고, 담석이 있는 경우에는 담낭 제거술과 함께 2~3주 동안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경과/합병증

치료하지 않을 경우 3~4주에 걸쳐 증상이 자연적으로 경과된다.치료하지 않을 경우 합병증으로 회장의 파이어 판(Peyers patch)에 궤양이 생겨 하혈이나 천공(구멍, 전체 환자의 1%에서 발생)이 발생하기도 한다. 중증 감염증에서는 중추신경계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약하게 난청이나 이하선염, 장천공, 장폐색, 관절염, 골수염, 급성 담낭염, 농흉(가슴 안에 고름이 고여 있는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발병 초기에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면 사망률은 1% 이하이지만 치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10~20%의 환자가 사망에 이른다.

예방방법

상하수도 정비 등의 공중위생 정책과 더불어 개인적 차원의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유행지역에서는 반드시 물을 끓여 먹고 음식물의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한다. 보균자의 경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세균이 몸 속에서 모두 제거되었음이 확인되기 전까지 식품을 다루는 업무나 환자를 간호하는 업무 등에 종사하는 것을 금해야 한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환자의 대소변에서 더 이상 균이 배출되지 않는 것이 확인될 때까지 환자를 격리시켜야 한다. 환자가 만진 물품도 따로 관리하고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손 닦기를 포함한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진료과(병원)

감염내과,소아청소년과

댓글